3 분 소요

[TIL]

Javascript 개념

전역 변수의 문제점

변수의 생명 주기

  •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

    지역 변수는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되면 소멸되는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보통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 === 함수의 생명 주기)

변수는 자신이 등록된 스코프가 소멸될 때까지 유효한데, 스코프나 변수를 누구도 참조하지 않을 때 가비지 콜렉터에 의해 메모리 풀에 반환된다. 누가 참조하고 있다면 해제되지 않고 남아있다.

  •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된다.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 ===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window가 전역 객체인데, 전역 객체 window는 웹 페이지를 닫기 전까지 유효하다. 따라서, var 또한 웹페이지를 닫을 때 까지 유효하다.

전역 변수의 문제점

  • 암묵적 결합(implicit coupling)

    전역 변수는 코드 어디서든 참조하고 할당하는 것을 허용하겠다는 것.

유효 범위가 큰 변수는 코드의 가독성을 해치고, 위험성도 높아진다.

  • 긴 생명 주기 생명 주기가 길기 때문에,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기간 소비된다. 따라서 var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을 허용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재할당이 발생할 수 있다.

  • 스코프 체인 상 종점에 존재 전역 변수의 검색 속도가 느리다. (큰 차이는 없음) 스코프 체인 상 가장 상위에 있기 때문에, 참조하려면 가장 마지막에 검색된다.

  • 네임 스페이스 오염 자바스크립트는 파일이 분리되어 있다고 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공유한다. 따라서, 전역 변수를 사용할 경우 다른 파일에 영향으로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전역 변수 사용 억제 방법

  • 즉시 실행 함수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 실행 함수는 단 한번만 호출된다.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면 모든 변수가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가 된다. 전역 변수를 생성하지 않아 라이브러리에서 많이 사용된다.

  • 네임스페이스 객체 전역에 네임스페이스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여 전역 변수처럼 사용할 변수를 이 네임스페이스 객체의 프로퍼티로 추가하는 식으로 사용한다. 식별자 충돌은 방지할 수 있으나 객체 자체가 전역 변수에 할당되므로 아주 좋지는 않다.
  • 모듈 패턴 클래스를 모방하여 관련이 있는 변수와 함수를 모아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하나의 모듈을 만드는 것이다. 클로저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전역 변수의 억제는 물론 캡슐화까지 구현할 수 있게 된다.
var Counter = (function () {
  // private 변수
  var num = 0;

  // 외부로 공개할 데이터나 메서드를 프로퍼티로 추가한 객체를 반환한다.
  return {
    increase() {
      return ++num;
    },
    decrease() {
      return --num;
    },
  };
})();

// private 변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정보 은닉)
console.log(Counter.num); // undefined

console.log(Counter.increase()); // 1
console.log(Counter.increase()); // 2
console.log(Counter.decrease()); // 1
console.log(Counter.decrease()); // 0
  • ES6 모듈

    ES6 모듈은 파일 자체의 독자적인 모듈 스코프를 제공한다.
    이 모듈을 사용하면 전역 변수를 사용할 수 없다.
    script 태그의 type=”module” 어트리뷰트를 추가하면 자바스크립트 파일은 모듈로서 동작한다.
    크로스 브라우징이 아직 안되기 때문에 ES6보다는 Webpack 등의 모듈 번들러를 사용한다.

React

React 레슨

ShouldComponentUpdate

  1. 문제 발견 기본 상태에서는 1초 마다 렌더링이 된다. time을 불러오는 함수 getCurrentTime 함수가 DidUpdate 메서드 안에 있으므로 1초마다 렌더 -> DidUpdate가 반복된다.

    그런데, pause를 누르거나 modal의 close 버튼을 누르면 render가 계속해서 늘어난다.
    
  2. 원인 파악 처음에는 Modal이 떠서 그런가… 생각했다. 근데 그게 아니라, Modal을 띄우기 위한 shoulShowModal state가 변경이 되면서 리렌더링이 일어나고, DidUpdate 메서드가 다시 불려져서 1초 사이에 또 시간을 가져오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렌더링이 pause/modal close 를 누를 때 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원래는 1초마다 렌더링되고 Update 메서드가 불려지면 되는 것인데
    거기서 button이 눌려져서 state가 변경이 되면서 1초 사이에 렌더링을 또 진행해버렸던 것이다. 1초 사이에 시간을 받아오는 것이기 때문에 눈에는 업데이트가 되는 지 몰랐던 것이다.
    
    그래서 함수형 component에서 useEffect 처럼 특정 state가 변화할 때만 렌더링되게 하는 그런 메서드가 없을까 찾아본 결과 메서드를 알게 되었다.!
    
  • ShouldComponentUpdate 메서드
    props 혹은 state를 변경 시, boolean 값을 반환하여 rerendering 여부를 결정하는 메서드
  1. 문제 해결 ShouldComponentUpdate 메서드를 이용해서 shouldShowModal이 바뀔 때는 렌더링 하지 못하도록 하고 싶었다.

    이 메서드를 어떻게 쓰는 고 찾아봤더니
    nextProps와 nextState를 인수로 현재 this.props 혹은 this.state와 비교하여 렌더링을 할지 말지 결정하면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 컴포넌트에서는 props가 없으므로 nextState만 받아서 그 shouldShowModal과
    this.State의 shouldShowModal이 같지 않을 때는 false가 나와서 렌더링되지 않도록 했더니 해결되었다!
    (이 두개가 같을 때는 시간이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렌더링이 되어야 한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