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Javascript - Event Loop / React - useState
[TIL]
Javascript
Event Loop
브라우저 구조
Javascript 엔진은 저 메모리 힙과 콜 스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해서 자바스크립트로 쓰여진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한다.
- 메모리 힙 : 구조화되지 않은 넓은 메모리 영역 (변수가 어디에 저장이 되어있는지/실행 컨텍스트가 참조하고 있는 것들이 저장되어 있는 곳)
- 콜 스택: 짜놓은 코드들의 실행 컨텍스트들이 쌓여서 하나씩 실행이 되는 곳. Call 이 Stack으로 쌓여져 있는 곳. 콜은 바로 Function을 호출하는 것을 뜻함. 콜 해주면 펑션이 실행되는 곳이다.
=> stack을 보면 어디 코드가 실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콜 스택이 하나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언어다라고 하는 것이다.
흰색 배경은 바로 브라우저를 뜻하는 것이다.
브라우저 안에 Javscript 엔진(크롬의 경우 V8)이 있고, Web에서 제공하는 API들(DOM api/document, AJAX/XMLHttpRequest, Timeout/setTimeout)과 바로 오늘 알아볼 Event Loop와 Callback queue라는 것이 있다.
이것들 또한 브라우저 혹은 런타임(node JS)에 내장되어 있는 기능 중 하나라고 보면 된다.
- Callback queue: 콜백 펑션(다른 함수에 인자로 전달되어진 함수)를 쌓아놓는 자리.
- Event Loop: 콜 스택과 콜백큐를 모니터하면서 콜 스택이 비어있으면 콜백 큐에서 이벤트를 하나 던져주어 실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문제는 어떻게 싱글 스레드 언어인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될까? 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자바스크립트만으로는 비동기를 처리할 수 없다고 보면 될 것 같고, 브라우저나 런타임 내장 기능인 이벤트 루프가 비동기 처리를 가능하게 해준다고 보면 된다.
간단한 예제와 Event Loop의 동작
예제로 한번 이해를 해보겠다.
console.log('Hi');
setTimeout(function cb1() {
console.log('call back1');
}, 5000);
console.log('Bye');
아주 간단한 코드이다.
결과는 우리 모두 다 알고 있을 것이다.
Hi
Bye
(5초 뒤)
call back1
그렇다면 이런 비동기 처리가 어떻게 되었는지 그림으로 살펴보자.
-
state clear 처음 상태로 브라우저 콘솔, 콜 스택, 콜백 큐 등 모두 비어있는 상태이다.
-
console.log(‘Hi’) 스택에 추가 console.log(‘Hi’)가 call stack에 들어가게 된다.
-
console.log(‘Hi’) 실행 console.log(‘Hi’)가 실행되어 브라우저 콘솔에 Hi라고 뜬다.
-
console.log(‘Hi’) 제거 console.log(‘Hi’)가 실행되었으므로 콜 스택에서 제거된다.
-
setTimeout(function cb1() {…}, 5000) 스택에 추가 setTimeout(function cb1() {…}, 5000) 콜 스택에 추가된다.
-
setTimeout(function cb1() {…}, 5000) 실행 setTimeout(function cb1() {…}, 5000)가 실행된다. setTimeout은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api이므로 web api가 알아서 시간을 세준다.
(자바스크립트 실행 엔진은 브라우저에 수 세달라고 안에 다시 받을 함수만 담아서 요청한다.) -
setTimeout(function cb1() {…}, 5000) 제거 자바스크립트 엔진 입장에서는 setTimeout이라는 api 요청은 끝났기 때문에 할 일 끝.
따라서 콜 스택에서 제거된다. -
console.log(‘Bye’) 스택에 추가 console.log(‘Bye’) 가 콜 스택에 추가된다.
-
console.log(‘Bye’) 실행 console.log(‘Bye’) 실행되어 브라우저 콘솔에 Bye라고 뜬다.
-
console.log(‘Bye’) 제거 console.log(‘Bye’)가 실행되었으므로 콜 스택에서 제거된다.
이 와중에도 web api는 timer를 통해 요청받은 시간을 세고 있다… -
콜백 큐에 cb1 추가 Web api가 5000ms를 다 세고 나서 cb1이라는 요청 받을 때 온 함수를 콜백 큐에다가 집어넣는다.
-
이벤트 루프가 cb1을 콜 스택에 추가 이벤트 루프가 콜백 큐에 추가된 함수를 콜 스택에 추가한다.
(이벤트 루프는 콜 스택도 확인하여 비어있을 때 콜백 큐에서 함수를 꺼내서 스택에 추가한다.) -
cb1 함수 실행 콜 스택에 있는 cb1이라는 함수를 실행한다.
그 안에는 console.log(‘call back1’)이 있으므로 해당 실행 컨텍스트를 또 콜 스택에다 추가한다. -
console.log(‘call back1’) 실행 콜 스택에 console.log(‘call back1’)가 가장 위에 있으므로 실행되어 브라우저 콘솔에 call back1가 뜨게 된다.
-
console.log(‘call back1’) 제거 console.log(‘call back1’)가 실행되었으므로 콜 스택에서 제거된다.
-
cb1 함수 제거 cb1는 이미 실행되었으므로 콜 스택에서 제거된다.
Tricky part
-
예시 1
setTimeout(myCallback, 1000);
이런 코드가 있다면, 1000ms 뒤에 (1초 뒤에) myCallback이라는 함수를 실행시켜줘 라기보다.
1초 뒤에 내가 준 함수(콜백 펑션)를 콜백 큐에 추가해줘 라는 것이다.
그러니 만약 콜 스택에서 굉장히 오래 걸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면, 바로 1초 뒤에 “실행”되지 않는 것이다.(콜백 큐에 저장되어 실행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그럼 이건?
-
예시 2
setTimeout(myCallback, 0);
어림없다.
0초 뒤에 바로 실행가능한 것이 아니라 0초 뒤에 콜백 큐에 추가되는 것이다.
이미 콜 스택에서는 이 setTimeout이 나오면 web api에 요청을 하고 콜 스택을 비워버리고 다음 실행을 넘어간다.
따라서 0초라고 해도 다음 라인이 먼저 실행되게 된다.만약 그래서 콜백안에 콜백안에 콜백이 있다면..?
-
예시 3
listen("click", function (e) { setTimeout(function () { ajax("https://api.example.com/endpoint", function (text) { if (text == "hello") { doSomething(); } else if (text == "world") { doSomethingElse(); } }); }, 500); });
이것을 콜백 지옥이라고 부르는데(nested callbacks / callback hell),
document addEventListner인 DOM api니까 안에 담겨진 내용과 같이 web apis로 보내고, 그럼 스택은 비워졌으니 web apis가 저 할일(버튼 클릭)이 끝나면 큐로 넘겨주어서 스택에는 setTimeout이 추가되고, 그럼 얘를 또 web apis로 보내고, 500ms 기다리는 도중에 연산이 조금이라도 늦은 게 실행되면 더더 늦어지고, 스택 비워져서 setTimeout 안에 있던 콜백 펑션 ajax가 스택에 추가되자마자 또 web apis로 요청하고….
원하는 요청이 제 시간에 오지 않아 에러를 일으킬 수 있고, 딱봐도 성능에 좋지 않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Promise, 최근에 나온 async, await 가 있다.
[참고 및 출처] https://blog.sessionstack.com/how-javascript-works-event-loop-and-the-rise-of-async-programming-5-ways-to-better-coding-with-2f077c4438b5 https://www.youtube.com/watch?v=zi-IG6VHBh8
React 관련
useState
useState는 동기 인가 비동기인가
useState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한다.
이벤트 핸들러 내에 setState가 여러번 호출이 된다면, 일괄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렌더링한다.
state1 set하고 state2 set 하고 동기적으로 처리된다면 느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num, setNum] = useState(1);
async function plus() {
setNum(num + 1);
setNum(num + 1);
setNum(num + 1);
}
async function minus() {
setNum(num - 1);
}
return (
<div className="App">
<h1>{num}</h1>
<button onClick={plus}>PLUS</button>
<button onClick={minus}>MINUS</button>
</div>
);
}
export default App;
setNum이 세번 사용이 되었다고 해서 num에다가 3이 더해지는 것은 아니다.
한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1만 증가하게 된다.
이 동일한 state를 업데이트 하는 경우 react는 이 동작들을 batch 처리한다.
batcting이란, setState를 하나로 병합한 후 최종적으로 한번만 setState 해주는 것이다.
state가 변경이 되면 re-render를 하게 되는데, 계속 렌더링이 일어나면 성능에 좋지 않으므로 state가 변경된 후 반영하는 것은 대기열에 넣은 후 한꺼번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은 값을 참조하게 될 수도 있다.
-
해결 방법:
-
최신 state 값을 참조하고 싶으면 업데이트 후에 하면 된다.
따라서 useEffect, componentDidUpdate를 사용해서 최신 state 값을 볼 수 있다. -
함수형 업데이트
setState가 비동기적으로 수행될 때, 값을 set 하지 말고, 업데이트된 최신의 state와 함께 함수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여러번 전달받는 함수들은 큐에 저장되어 순서대로 실행된다.
따라서 큐에서 먼저 수행된 함수의 결과로 반영된 state값이 다음 수행할 함수의 인자로 들어가게 되므로, 항상 최신의 state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바꾸란 얘기jsx async function plus() { setNum(num => num + 1) setNum(num => num + 1) setNum(num => num + 1) }
-
[참고 및 출처] https://baegofda.tistory.com/220 https://garve32.tistory.com/39
Git
git online repo가 연결된 것이 있는데 다른 repo를 또 만들어서 연결하고 싶으면?? 그때는 git remote set -url origin [옮길 주소] 를 하고 push 하면 된다!
댓글남기기